보험료 세액공제? 한도부터 연금저축 연말정산까지 총정리

보험료를 돌려받는 아이콘
어렵고 복잡한 보험

무료로 보험전문가와 채팅하기

다음

쉬움마지막 수정
241220_[머니피드]보험료세액공제.jpg

보험료 세액공제 A to Z

2024년도 어느덧 얼마남지 않았는데요. 이 시기 직장인들이라면 모두 기억하고 준비를 시작하는 한가지,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연말정산은 정부에서 내 월급에서 미리 떼어갔던 세금을 나의 소비와 비교해 더 가져갔다면 돌려주고 덜 가져갔다면 더 받아가기 위해 정산하는 건데요. 그렇다면 보험료도 연말정산을 통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보험료 세액공제의 한도와 기준, 연금저축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의 신청 절차와 서류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지금 납입 중인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일까?

보장성 보험은 연말 세액공제가 가능해요

먼저 보험료 세액공제는 모든 보험이 다 가능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중에서 보장성 보험만 연말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보장성 보험 세액공제 조건

보장성 보험료는 연간 100만 원 한도 내에서 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본인이거나 기본공제 대상자여야 합니다.
  • 태아처럼 기본공제 대상이 아닌 경우는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 딱 정리해드려요

피보험자는 뭐고 또 공제대상은 어디까지고 그냥은 알기 어려운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 어떻게 확인해볼 수 있을까요? 우선 기본공제 대상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기본공제 대상은 계약자와 피보험자 모두가 본인이거나, 본인이 계약한 보장성 보험의 피보험자가 기본공제 대상에 해당되는 대상자인 경우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조건이 맞다면 직계비속이나 위탁아동 등 도 기본공제 대상에 해당됩니다.
 

기본공제 대상자 기준

공제대상

구분

공제금액

공제요건

본인

계약자+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없음

배우자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직계존속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 만 60세 이상

형제자매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 만 20세 이하

직계비속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 만 20세 이하

위탁아동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 과세 기간 중 6개월 이상 직접 양육 확인

수급자

피보험자

인당 150만원 내

연간 소득 합계액 100만원 이하

보험료 세액공제 한도와 기준

그럼 보험료 세액공제 한도는 어떻게 될까요? 앞서 언급했다시피 공제한도는 연 100만원으로, 내가 공제되는 금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일반 보장성보험료 납입액 X 0.12(공제율)’를 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장애인전용 보험료의 경우 15%의 공제율을 보이기 때문에 계산 전 보험을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이렇게 스스로 계산하는 방법도 있지만 ‘국세청 홈텍스’ 또는 ‘한국납세자연맹’의 연말정산 계산기를 이용해보는 것도 쉽게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구분

공제대상 보험료

공제한도

공제율

조건 및 기준

보장성 보험료

생명보험, 상해보험, 손해보험, 주택임차보증금 반환 보증보험(3억 원 초과 제외)

연 100만 원

12%

기본공제대상자를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료만 공제 가능

장애인전용 보험료

장애인을 피보험자로 하는 생명보험, 상해보험, 손해보험 등

연 100만 원

15%

기본공제대상자 중 장애인(연령 제한 없음)을 피보험자로 하는 경우

 

12월까지 가입하고 납입한 보험료는 연말정산 받을 수 있어요

연말정산은 1월부터 12월까지 납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진행이 됩니다. 

 

12월이 가기 전 보험을 가입한 경우, 내년도 보험료까지 미리 납입한 경우, 중도 해지한 경우에도 연말 정산이 가능해요. 보험료 납입일이 과세기간에 속했다면 세액공제가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죠. 

 

아래 정리표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연말정산 가능할까? 

🔍 Tip  "납입일이 과세기간에 속했는지"가 중요한 기준

 

✅ 12월에 가입해 납입: 납입한 금액 세액공제 가능

✅ 12월 가입 후 내년 11월분까지 선납: 선납한 금액도 모두 세액공제 대상

✅ 중도 해지: 해지 전까지 납입한 금액도 세액공제 가능

12월이 가기 전 마지막 기회

연금저축보험은 연금보험과 달리, 연말정산이 가능해요

 

연금저축보험

연금보험

세액공제 가능 여부

O

X

세제 혜택 기준 

보험료 납입 시점

보험료 수령 시점

연금보험은 보험료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비슷한 이름의 연금저축보험은 세액공제대상에 해당이됩니다.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보험료 납입이 세제혜택의 기준이라면, 연금보험은 세제혜택의 적용 시점이 보험금을 수령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연금저축보험으로 갈아타시면, 세제혜택 받으실 수 있어요

연금저축보험은 연간 최대 600만원까지 납입한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 때, 개인사업자/프리랜서의 경우 종소세 신고를 통해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아직은 12월, 연금저축 상품들의 경우 굳이 해지하지 않아도 타 금융회사를 통해 연금계좌를 이전할 수 있어 연금저축보험으로 갈아타는 것도 가능하니 한번 확인해보는 것도 좋겠죠?

 

보험계약자가 기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질병이력, 연령증가 등으로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입 상품에 따라 새로운 면책기간 적용 및 보장 제한 등 기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모집종사자 개인 의견이며 요건 등 자세한 사항은 세법을 참조하셔야 합니다. 

12월이 가기 전 마지막 기회

보험료 세액공제 신청, 이렇게 하세요!

세액공제 신청 절차 및 서류

그렇다면 보험료 세액공제 신청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어렵지 않게 신청할 수 있어요. 

  • 1.
    보험료 납입증명서 발급받기
    • 보험사 홈페이지,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2.
    소득세액공제 확인서와 함께 제출
    • 연말정산 시 국세청 홈택스에서 소득세액공제 확인서를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하세요.

📌서류 체크리스트

☑️ 보험료 납입증명서

☑️ 소액세액공제확인서 (연금보험료 목록 포함)

내가 낸 보험료

벌써 연말입니다. 2024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를 정도로 많은 일이 있었는데요. 그래도 직장인이라면 꼭 챙겨야하는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보험료 세액공제를 통해 13월의 월급을 조금 더 채워보는 건 어떨까요?   

 

■ 상기 내용은 모집종사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계약 체결에 따른 이익 또는 손실은 보험 계약자 및 피보험자에게 귀속됩니다.

■ 보험계약체결 전, 보험상품 설명서 및 약관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본 광고는 광고심의 기준을 준수하였으며, 유효기간은 심의일로부터 1년 입니다.

AZ-준법감시팀-준법심의필2025-00006 (2025.01.14~2026.01.13)

■ 보험계약자가 기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① 질병이력, 연령증가 등으로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② 가입 상품에 따라 새로운 면책기간 적용 및 보장 제한 등 기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험 전문가에게

맞춤 설계 받고 부족한 보장 채우기다음

상담사에게 보험상담을 받는 아이콘.png

보험 종류 | 금융용어정리

  • 보험
  • 보험 종류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본인신용정보관리회사인 뱅크샐러드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www.banksalad.com/articles/home)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남기기
    az금융 외부필진 프로필.jpg

    쉬움

    '보험은 어렵다'는 말은 이제 그만! 궁금하지만 어려웠던 보험, 쉬움이 쉽게 풀어드려요.
    금융 어드바이저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