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연금 소득공제 최대한 챙겨가는 TIP! 📌
- 개인연금의 세액공제율은 연소득에 따라 달라져요!
복잡한 세액공제 규정으로 어떤 개인연금이 나에게 가장 유리한지 고민되실 텐데요.
개인연금상품의 세액공제율은 주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개인형 IRP)을 중심으로 적용됩니다. 이 상품들은 노후 준비를 지원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장려 금융상품이에요.
그럼 나는 어떤 금융상품으로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요? 뱅크샐러드에서 표로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찾고 계신다면, 연금저축상품 중 소득공제가 되는 상품을 알고 싶으신 텐데요, 먼저 세액공제와 소득공제는 개념적으로 다릅니다. 소득공제는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이는 방식으로 세금을 줄이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이에요.
과거에는 개인연금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이 제공되었으나, 현재 개인연금 상품에서는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며, 소득공제가 되는 상품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요.
개인연금 상품 중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으로는 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개인형 IRP, ISA를 통해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보장성보험 중에서도 가입하면, 납부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
공제 방식 | 상품 | 최대 혜택 기준 |
---|---|---|
세액공제 | 최대 600만 원 납입 / 16.5% 또는 13.2% | |
세액공제 | IRP(개인형 퇴직연금) | 연금저축과 합산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세액공제 | IRP로 전환 시 최대 300만 원에 10% 추가 공제 | |
소득공제 | 보장성 보험 | 100만 원 한도 / 12% 또는 15% 공제 |
개인연금상품들은 연소득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기도 하고, 공제한도도 달라져요. 세액공제율을 정리해 드릴게요!
항목 | 공제 한도 | 공제율 | 특징 |
---|---|---|---|
연금저축 | 연간 최대 600만 원 |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 보험사·은행·증권사 제공 노후 대비 장기상품 |
개인형 IRP |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 |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 퇴직금 + 개인 납입금 운용 예금·펀드 등 다양한 자산 투자 가능 |
ISA | 연금계좌 전환 시 최대 300만 원 세액공제 | 만기 시, 개인연금계좌로 전환하는 금액의 10% 세액공제 | 만기 후 IRP로 전환 시 추가 절세 가능 |
보장성 보험 | 연간 최대 100만 원 | - 일반 보장성 보험: 12% -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 15% | 종신보험·건강보험 등 질병·사고 대비 목적 |
여러 연금상품이 존재해 나는 어떻게 넣는 것이 가장 유리 할 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최대한 챙기는 전략으로 개인연금을 챙기신다면 소득별 가장 효율적인 세액공제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세액공제율 최고인 16.5% 적용 가능
상품 | 납입 전략 | 절세 포인트 |
---|---|---|
연금저축 | 600만 원 풀 납입 | 세액공제 최대화 (600만 × 16.5% = 99만 원) |
IRP | 추가로 300만 원 납입 | IRP 포함 총 900만 납입 = 49.5만 원 공제 |
ISA | 여유 자금은 ISA에 투자, IRP 전환 고려 | 수익 비과세 + IRP 전환 시 10% 세액공제 가능 |
보장성 보험 | 100만 원 납입 | 일반 12만 원 / 장애인용 15만 원 절세 가능 |
해당 소득구간에서는 높은 공제율(16.5%)을 활용하여 연금저축과 IRP를 최대한 채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 세액공제율 13.2% 적용, 한도는 여전히 연금저축 600 + IRP 300 가능
상품 | 납입 전략 | 절세 포인트 |
---|---|---|
연금저축 | 600만 원 납입 유지 | 600만 × 13.2% = 79.2만 원 공제 |
IRP | 300만 원 납입 | 300만 × 13.2% = 39.6만 원 공제 |
ISA | 여유 자금은 ISA 활용 + 장기 운용 권장 | ETF 등으로 수익 얻고, 만기 시 IRP 전환 고려 |
보장성 보험 | 100만 원 납입 | 소득 공제 12만 원 또는 15만 원 |
공제율이 낮아지므로 IRP와 ISA를 병행하여 절세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공제한도 축소 (IRP 세액공제 한도 200만 원으로 줄어듦)
상품 | 납입 전략 | 절세 포인트 |
---|---|---|
연금저축 | 600만 원 납입 유지 | 여전히 최대 79.2만 원 세액공제 가능 (13.2%) |
IRP | 200만 원까지만 공제 가능, 초과분은 일반 과세 | 세액공제는 26.4만 원 한도 |
ISA | 자산 증식·절세 목적의 핵심 계좌로 적극 활용 | 만기 시 IRP 전환 → 추가 세액공제 + 투자 수익 비과세 |
보장성 보험 | 100만 원 납입 | 의료비 대비 + 소득공제 최대화 |
이 구간 소득에 들어가면, IRP 한도가 줄기 때문에 ISA의 전략적 활용이 더욱 중요해져요.
위 내용을 요약해서 한눈에 비교해 드릴게요.
연봉 (총 급여 기준) | 세액공제율 | 연금저축 납입 | IRP 납입 | 총 세액공제 한도 | 최대 세액공제액 |
---|---|---|---|---|---|
5,500만 원 이하 | 16.5% | 600만 원 | 300만 원 | 900만 원 | 148.5만 원 |
5,500만 원 초과 ~ 1.2억 원 미만 | 13.2% | 600만 원 | 300만 원 | 900만 원 | 118.8만 원 |
1.2억 원 이상 | 13.2% | 600만 원 | 200만 원 | 800만 원 | 105.6만 원 |
마지막으로 상황별 추천 전략도 같이 비교해 보는 게 좋아요.
■ 보험계약체결 전, 보험상품 설명서 및 약관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본 광고는 광고심의 기준을 준수하였으며, 유효기간은 심의일로부터 1년 입니다.
■ AZ-준법감시팀-준법심의필2025-00125 (2025.04.07~2026.04.06)
■ 보험계약자가 기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① 질병이력, 연령증가 등으로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② 가입 상품에 따라 새로운 면책기간 적용 및 보장 제한 등 기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