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공제용 연금저축과 IRP : 연봉별 개인연금 최대 세액공제 정리

소현마지막 수정
250404_개인연금소득공제.jpg

복잡한 세액공제 규정으로 어떤 개인연금이 나에게 가장 유리한지 고민되실 텐데요. 

개인연금상품의 세액공제율은 주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개인형 IRP)을 중심으로 적용됩니다. 이 상품들은 노후 준비를 지원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장려 금융상품이에요. 

그럼 나는 어떤 금융상품으로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요? 뱅크샐러드에서 표로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개인연금 소득공제 최대한 챙겨가는 TIP! 📌

  • 개인연금의 세액공제율은 연소득에 따라 달라져요!
  • 총 급여가 높아, 공제율이 낮아지면 IRP와 ISA를 병행해 절세 효과를 높일 수 있어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찾는다면? 소득공제용 개인연금 종류 비교

소득공제 되는 개인연금 종류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을 찾고 계신다면, 연금저축상품 중 소득공제가 되는 상품을 알고 싶으신 텐데요, 먼저 세액공제와 소득공제는 개념적으로 다릅니다. 소득공제는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이는 방식으로 세금을 줄이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이에요. 

 

과거에는 개인연금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이 제공되었으나, 현재 개인연금 상품에서는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며, 소득공제가 되는 상품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아요.
 

개인연금 상품 중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으로는 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개인형 IRP, ISA를 통해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보장성보험 중에서도 가입하면, 납부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


세액공제혜택 제공 개인연금상품

공제 방식

상품

최대 혜택 기준

세액공제

최대 600만 원 납입 / 16.5% 또는 13.2%

세액공제

IRP(개인형 퇴직연금)

연금저축과 합산 9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세액공제

IRP로 전환 시 최대 300만 원에 10% 추가 공제

소득공제

보장성 보험

100만 원 한도 / 12% 또는 15% 공제

 

개인연금 세액공제율은 얼마나 될까? 한눈에 비교하기

개인연금상품들은 연소득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기도 하고, 공제한도도 달라져요. 세액공제율을 정리해 드릴게요!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항목

공제 한도

공제율

특징

연금저축

연간 최대 6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보험사·은행·증권사 제공

노후 대비 장기상품

개인형 IRP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13.2%

퇴직금 + 개인 납입금 운용

예금·펀드 등 다양한 자산 투자 가능

ISA

연금계좌 전환 시 최대 300만 원 세액공제

만기 시, 개인연금계좌로 전환하는 금액의 10% 세액공제

만기 후 IRP로 전환 시

추가 절세 가능

보장성 보험

연간 최대 100만 원

- 일반 보장성 보험: 12%

- 장애인 전용 보장성 보험: 15%

종신보험·건강보험 등

질병·사고 대비 목적

 

연봉별 개인연금 최대 세액공제 방법은?

여러 연금상품이 존재해 나는 어떻게 넣는 것이 가장 유리 할 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를 최대한 챙기는 전략으로 개인연금을 챙기신다면 소득별 가장 효율적인 세액공제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세액공제율 최고인 16.5% 적용 가능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풀 납입

세액공제 최대화 (600만 × 16.5% = 99만 원)

IRP

추가로 300만 원 납입

IRP 포함 총 900만 납입 = 49.5만 원 공제

ISA

여유 자금은 ISA에 투자, IRP 전환 고려

수익 비과세 + IRP 전환 시 10% 세액공제 가능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일반 12만 원 / 장애인용 15만 원 절세 가능

해당 소득구간에서는 높은 공제율(16.5%)을 활용하여 연금저축과 IRP를 최대한 채우는 것이 유리합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 1.2억 원 미만

👉🏻 세액공제율 13.2% 적용, 한도는 여전히 연금저축 600 + IRP 300 가능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유지

600만 × 13.2% = 79.2만 원 공제

IRP

300만 원 납입

300만 × 13.2% = 39.6만 원 공제

ISA

여유 자금은 ISA 활용 + 장기 운용 권장

ETF 등으로 수익 얻고, 만기 시 IRP 전환 고려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소득 공제 12만 원 또는 15만 원

공제율이 낮아지므로 IRP와 ISA를 병행하여 절세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총 급여 1.2억 원 이상 (또는 종합소득 1억 원 이상)

👉🏻 공제한도 축소 (IRP 세액공제 한도 200만 원으로 줄어듦)

상품

납입 전략

절세 포인트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유지

여전히 최대 79.2만 원 세액공제 가능 (13.2%)

IRP

200만 원까지만 공제 가능, 초과분은 일반 과세

세액공제는 26.4만 원 한도

ISA

자산 증식·절세 목적의 핵심 계좌로 적극 활용

만기 시 IRP 전환 → 추가 세액공제 + 투자 수익 비과세

보장성 보험

100만 원 납입

의료비 대비 + 소득공제 최대화

이 구간 소득에 들어가면, IRP 한도가 줄기 때문에 ISA의 전략적 활용이 더욱 중요해져요.

 

위 내용을 요약해서 한눈에 비교해 드릴게요. 

 

소득공제용 연금저축·IRP 연봉별 최대 세액공제 혜택 요약

연봉 (총 급여 기준)

세액공제율

연금저축 납입

IRP 납입

총 세액공제 한도

최대 세액공제액

5,500만 원 이하

16.5%

600만 원

300만 원

900만 원

148.5만 원

5,500만 원 초과 ~ 1.2억 원 미만

13.2%

600만 원

300만 원

900만 원

118.8만 원

1.2억 원 이상

13.2%

600만 원

200만 원

800만 원

105.6만 원

 

마지막으로 상황별 추천 전략도 같이 비교해 보는 게 좋아요.


 상황별 세액공제 금융상품 전략 TIP 

  • 소득은 적지만 절세 확실하게 하고 싶은 경우 👉🏻 연금저축 600 + IRP 300 납입 우선
  • 연금저축은 불편하고 투자 중심으로 운용하고 싶을 때 👉🏻 RP 900만 원 풀납입 + ETF 중심 투자
  • 보장성 보험도 챙기고 싶다면 👉🏻 세액공제보다 소득공제 항목으로 따로 구성
  • ISA 만기 가까운 경우 👉🏻 IRP로 일부 금액 전환해서 10% 세액공제 챙기기

 

 

■ 보험계약체결 전, 보험상품 설명서 및 약관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본 광고는 광고심의 기준을 준수하였으며, 유효기간은 심의일로부터 1년 입니다.

■ AZ-준법감시팀-준법심의필2025-00125 (2025.04.07~2026.04.06)

■ 보험계약자가 기존 보험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① 질병이력, 연령증가 등으로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험료가 인상될 수 있습니다. ② 가입 상품에 따라 새로운 면책기간 적용 및 보장 제한 등 기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의 모든 것 | 절세팁

  • 보험
  • 세액공제
  • 본 콘텐츠는 이용자의 합리적인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해 본인신용정보관리회사인 뱅크샐러드가 제공하는 객관적인 금융상품 분석·컨설팅 정보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보호됩니다. 본 콘텐츠는 출처 URL(www.banksalad.com/articles/home)을 명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남기기
    IMG_4559-2.jpeg

    소현

    다양하고 복잡한 금융 정보를 정리해서 여러분들에게 필요하고, 궁금할 부분을 콕 찝어 알려드릴게요.
    금융 어드바이저 글 더보기